-
입춘(立春)은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겨울이 지나고 본격적인 봄이 시작됨을 알리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추운 겨울을 견디고 따뜻한 계절을 맞이하는 순간이기에 예부터 사람들은 입춘을 특별하게 여겼습니다.
2025년 입춘은 2월 4일로, 새로운 한 해의 기운이 본격적으로 자리 잡는 날입니다. 한 해의 복을 기원하며 새로운 출발을 다짐하는 이 날, 우리는 어떤 마음가짐으로 맞이하면 좋을까요?
저 역시 어린 시절, 할머니께서 대문에 입춘첩을 붙이며 "입춘대길 건양다경"을 외치시던 기억이 납니다. 그때는 단순한 의식처럼 느껴졌지만, 지금 돌아보면 그 속에 담긴 의미가 더욱 깊게 다가옵니다.
출처 - 핀터레스트 입춘이란 무엇인가?
입춘은 한자로 "설 입(立)"과 "봄 춘(春)"이 합쳐진 말로, 문자 그대로 "봄이 시작되는 날"을 의미합니다.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예로부터 농경사회에서는 이 날을 기준으로 농사의 시작을 준비했습니다.
중국 주나라 시대부터 시작된 절기 개념은 한국에도 전해져 조선시대에는 궁궐에서도 입춘을 맞아 다양한 의식을 치렀습니다. 왕이 신하들에게 새해의 덕담을 건네고, 백성들은 각 가정에서 입춘을 기념하는 풍습을 이어왔습니다.
입춘과 지역별 풍습
입춘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입춘첩(立春帖)"을 붙이며 좋은 기운을 맞이합니다. 대표적인 문구로는 "입춘대길(立春大吉)"과 "건양다경(建陽多慶)"이 있습니다.
- 입춘대길(立春大吉): "입춘을 맞아 큰 길운이 깃들기를" 기원하는 의미
- 건양다경(建陽多慶): "새로운 태양이 떠오르고 경사가 많기를" 바라는 뜻
이 외에도 지역별로 다양한 입춘 풍습이 존재합니다. 제주도에서는 밭을 갈며 한 해의 농사가 잘되길 기원하는 풍습이 있고, 전라도 지역에서는 떡을 만들어 이웃과 나누는 전통이 있습니다.
입춘과 관련된 음식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대표적인 입춘 음식으로 "오신채(五辛菜)"가 있는데, 이는 다섯 가지 매운 채소(파, 마늘, 부추, 달래, 미나리)를 이용해 만든 요리로 액운을 쫓고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입춘은 단순한 절기가 아니라, 우리에게 새로운 출발을 다짐하게 하는 상징적인 날이기도 합니다. 겨울이 끝나고 따뜻한 봄이 시작되듯, 우리의 마음도 새롭게 정비할 시기입니다.
2024년은 다사다난한 한 해였습니다. 세계적으로나 국내적으로도 불안한 일들이 많았고, 개인적으로도 어려움과 도전의 연속이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겨울이 가고 봄이 오듯, 이제 새로운 희망을 품을 때입니다.
2025년 입춘을 맞아 우리는 어떤 계획을 세울 수 있을까요?
'잡학사전 >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프로필과 논란 (1) 2025.02.04 정형식 헌법재판관 한명숙 전 국무총리 재판 분석 (1) 2025.02.03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프로필 (0) 2025.02.02 정형식 헌법재판관 프로필 및 논란 정리 (0) 2025.02.02 국가인권위원회 안창호 위원장 프로필, chatgpt 자격검증, 계엄관련 태도 (1) 2025.01.13